본문 바로가기

연애매뉴얼(연재완료)1084

낯가리는 여자의 소개팅, 마음에 드는 남자가 나왔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S양의 이번 소개팅엔 마침표가 찍힌 거라 할 수 있겠다. 나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도와주고 싶지만, S양이 안 해오던 걸 단번에 잘 할 수 있게 만들기도 어렵고, 상대의 반응이 ‘레드라이트’라는 것이 확실한 까닭에 어떻게 좀 파고들어갈 수 있는 틈이 보이질 않는다. S양은 그래도 소개팅 이후 상대에게 답장이 왔다는 것에 희망을 걸고 있는 것 같은데, 난 그 이후 아무 연락이 없다는 게 그의 ‘대답’이라고 생각한다. 이게 올림픽은 아니지만 어쨌든 이번 소개팅은 참가에 그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기로 하며, 왜 이렇게 되었는지, 또 다음번에 같은 상황에 놓였을 때 이번과는 다른 결과를 이끌어내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함께 살펴보자. 1. 속으로 하는 생각을 지우고, 앞의 상대를 봐야.. 2017. 1. 17.
남친과 헤어진 여자애한테 고백했는데, 퇴짜 맞았어요. 우선 H군에겐, 노멀로그의 이전 매뉴얼들을 좀 검색해서 읽어보길 권하고 싶다. ‘고백’으로만 검색해도 H군의 문제가 뭔지 금방 알 수 있을 텐데, 8할 이상이 이미 발행한 매뉴얼에 있는 와중에 내게 막무가내로 사연을 보내면 난 했던 얘기를 또 하고, 또 하고, 또 해야 한다. H군의 고민은 이미 발행한 매뉴얼들에 있는 이야기들이니, 주제별로 짧고 굵게 훑으며 내려가 보자. 1. 은어와 비속어, 욕설을 사용하면, 끝장 날 확률이 높다. H군의 사연을 보며 내가 할 말을 잃은 건, 상대와의 카톡대화에서 H군이 “개빡세네 ㅋㅋㅋ” “아 슈발 ㅋㅋㅋ” “끝나고 닭갈비 조지자. ㅋㅋ” 등의 이야기를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H군은 ‘남중남고’라는 솔로부대 세미 엘리트 코스를 밟았다고 했는데, 그래서인지 말인지 욕인.. 2017. 1. 11.
7살 연상의 중국어 과외쌤, 그와 저는 썸일까요? 외 1편 그러니까 우리 이제 이런 사연을 하루 이틀 본 것도 아니니, “상대가 당황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다른 사람들에 비해 절 좀 특별하게 생각하는 게 아닌가 싶었습니다.” “그 분이 저에 대해 무슨 얘기를 했다는 느낌이 있었습니다.” 라며 심증만 키워가는 것은 그만하자. 단둘이 만나 아직 밥 한 번도 먹은 적 없다면, 상대를 관찰하며 계속 어떤 의혹만 만들 게 아니라, 둘의 관계를 그냥 ‘아직 같이 밥 한 번도 먹은 적 없는 사이’로 받아들인 채 거기서 더 어떻게 가까워질지를 생각하는 게 현명한 거다. 첫 사연의 주인공인 S양 역시, 홀로 심증을 만들고 그걸 검증하려 하다, 예상했던 것과 다른 상황이 펼쳐지자 내게 도움을 요청해왔다. 자신의 심증이 맞는 건지, 만약 틀리다면 어느 부분에 초점을 맞춰서 새.. 2017. 1. 6.
너무 바쁘고 반응 없는 사람한텐 어떻게 다가가죠? 외 1편 전에도 한 번 얘기했듯, 짝사랑 중이라면 구애에만 집중할 게 아니라 ‘상대가 어떤 상황에 놓여있는가’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만약 상대가 접촉사고를 당해 경황이 없는 와중에 이쪽에서 전화를 걸어 ‘만날 약속’을 잡으려 한다면, 결코 좋은 말을 들을 순 없는 것 아니겠는가. 상대가 하루 예닐곱 시간 밖에 못 자며 공부에 매달리고 있는 상황이라면 ‘그런 와중에’ 낼 수 있는 아주 작은 여유에 좀 스며들 생각을 해야지, 일반적인 상황에서처럼 연락할 거 다 하고 만날 거 다 만나는 걸 기대해서는 안 된다. 그래버리면, 상대가 어렵게 낸 ‘1시간’도 이쪽은 ‘겨우 1시간’으로 여기며 실망하게 되고, 상대가 꾸준히 답장을 보내주고 있음에도 이쪽은 ‘더 길게 얘기할 생각은 없나? 선톡을 할 생각은 없는 건가?’하며.. 2016. 12. 31.